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디자인검증
- UX디자인
- 그래픽디자인트랜드
- 트랜드분석
- 디자인스터디
- 앱디자인트랜드
- 2022년트랜드
- 디자인원칙
- UXUI
- 팝업가이드
- 2022트랜드
- 스낵바팝업
- UX공부
- UI
- UX리서치
- SQL
- 토스트팝업
- UX스터디
- 휴리스틱
- UX
- 사용자
- MZ세대
- UI팝업
- 2022년디자인트렌트
- 사용성
- 트랜드
- 디자인
- MySQL
- servicebluprint
- 디터람스10계명
Product Designer 의 UX UI 스터디
[그래픽 디자인 트랜드] 2022년 트랜드 - 8가지 그래픽 디자인 본문
2022년 그래픽 디자인 트렌드 8가지
- 다양성을 보여주는 비주얼(Inclusive visuals)
- 재미있는 데이터 시각화(Fun data visualizations)
- 대담한 배경(Bold backgrounds)
- 다채로운 아이콘과 삽화(Colorful icons and illustrations)
- 세리프체(Serif fonts)
- 브랜드 밈(Branded memes)
- 인용 부호(Quotes)
- 소셜 스크린샷(Social screencaps)
-
1.다양성을 보여주는 비주얼(Inclusive visuals)
사람의 평등과 다양성을 포함한 디자인을 더욱 자주 보게 될 것이다.
더 많은 인종, 성별, 그리고 체형을 반영하는 다양한 이미지와 아이콘을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이미지로 한개의 성별 또는 인종으로 표현되는 방식은 현대 세상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일러스트의 경우에도 백인 뿐 아니라 다양한 피부색을 가진 일러스트로 표현된다. 또는 아예 중성적이거나 중립적인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2.재미있는 데이터 시각화(Fun data visualizations)
작년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사람들은 의료와 공공정보 분야에 대해서 데이터가 시각화 되는 것들을 자주 접할 수 있었다. 복잡한 자료들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것이 중요했다.
거짓뉴스들이 퍼져나가는데에 있어서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신빙성있는 데이터를 시각화 한요소는 설득력이 있다.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정보를 제공하는 좋은 방법이다.
2022년에는 단순히 공공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 뿐아니라 트위터처럼 다양한 주제에 대핸 다채롭고 매력적인 차트와 그래프를 만들수있다.
데이터 시각화는 마케팅의 한 요소로 사용되고있다. 연령과 성별로 하루 중 어떤 앱을 주로 사용하는지에 대해 데이터 시각화 자료를 만들어 배포하면서 함께 광고효과를 누릴 수 있다. 얼마전에 카카오에서 발표한 이모티콘과 관련된 아티클을 읽은 적이 있는데 데이터 시각화르 통해 사람들에게 카카오톡 이모티콘에 대해 마케팅 효과도 얻은 좋은 사례라고 생각된다.
3.대담한 배경(Bold backgrounds)
코로나의 영향으로 침체된 분위기 때문인지 2022년은 더 대담하고 밝은 색상으로 디자인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컨텐츠들이 워낙 많은 온라인 공간에서 사용자의 눈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돋보이기 위한 색상장치를 활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런 대담한 컬러를 사용하는 좋은 사례의 서비스는 스포티 파이이다.
시각적으로 대담한 컬러와 밝은 색상의 텍스트들은 대조를 이루면서 소셜미디어 피드에서 눈에 확 띄게된다. 이렇게 눈에 띈 컨텐츠 들은
클릭을 유도 할 수있다.
4.다채로운 아이콘과 삽화(Colorful icons and illustrations)
아이콘은 오랫동안 강력한 마케팅 도구였다. 한눈에 메세지를 전달 할 수 있고 보편적으로 아이콘이 사용되고있다.
대부분의 아이콘은 여러나라에서 통용되는 같은 심볼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쉽게 의미를 해석 할 수 있다.
모노톤의 아이콘 디자인 보다 다채로운 색상을 사용하여 다이나믹한 느낌으로 브랜드이미지와 서비스를 어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플랫 아이콘이 2021년에 크게 유행하였지만 2022년에는 3D 아이콘과 일러스트레이션이 함께 사용되는 것들로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 |
![]() |
![]() 우리은행 마이데이터 페이지 |
5.세리프체(Serif fonts)
영문에서 세리프체는 고급스러운 느낌을 전달하며 큰 주제를 쓰는 것으로 사용하면 주목을 끌 수 있다.
클래식하기만 한 서체라고생각 될 수 있지만 최근에는 현대적인 느낌의 세리프체도 다양한 디자인으로 적용되고 있다.
인터콤의 경우가 클래식과 현대적인 세리프체를 적용한 좋은 사례로 볼 수 있다.
한국에서는 주로 명조체로 사용되는 것들을 볼 수 있는데 주로 도서 서비스들에서 타이틀 또는 디자인적인 요소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명조체를 타이틀로 사용하면 홈페이지 혹은 메인페이지에서 첫인상을 전달하는 도구로 사용 하 수 있다
![]() 밀리의 서제 첫 인트로 페이지 |
![]() |
6,.브랜드 밈(Branded memes)
밈 = 짤은 대유행하고있다. 어떤 밈들은 말보다 더 빨리 유행 할 수 있다. 어떤 밈들은 금방 사라지지만 어떤 밈들은 계속해서 지속적으로 사용되기도합니다. 재밌는 데이터 시각화 처럼 브랜드의 밈을 탄생시켜 활용하면 재밌는 마케팅 & 브랜딩 요소가 될 수 있다.
배달의 민족이 짤을 잘 만드는 대표적인 브랜드이다.
![]() |
![]() |
![]() |
긴 설명을 할 필요 없이 전달 될 수 있는 재미요소이기에 부담없이 사용 될 수 있고 마케팅과 브랜딩 효과가 따른다.
7.인용 부호(Quotes)
인용구는 사회적인 증거역할을 하게된다.
인용부호는 이전에는 감동적인 인용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뭔가 감동을 주기 위해 전달되는 장치로 사용되었다.
2022년에는 비주얼 요소로 활용되는 인용문에는 영감보다는 교육과 더 관련이 있다.
어떤 권위있는 혹은 경험이 많은 사람이 하는 말이라는 요소로 사용될때에는 화자의 사진과 함께 사용되서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링크드 인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용부호 활용 예이다.
8.소셜 스크린샷(Social screencaps)
브랜드들은 현재 여러 소셜미디어에 여러 게시물들을 공유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에 공유되는 내용들을 스크린샷으로 사람들 사이에 공유가 되기를 브랜드들은 원한다. 여러개의 다양한 소셜미디어에 올린 컨텐츠들을 서로 공유함으로 다양한 사람들에게 컨텐츠가 전달 될 수 있도록 한다.
줌의 경우 틱톡 비디오를 인스타그램에 올려서 다시 공유를 했었다.
브랜드 광고 효과 뿐 아니라 소셜임팩트 효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올해는 특히 테슬라보단 엘론머스크의 트위터 짤들이 많이 돌아다닌 것을 볼 수 있었다. 그가 한마디 한것이 비트코인의 가격을 올리고 내리기도 하였고 테슬라의 주식이 상승과 하락을 하였기 때문이다. 그의 트위터 멘트들은 뉴스에도 등장했다. 이렇게 권위있는 사람의 한말의 스크린 샷이 여러군데 돌아다기에 되면 그것 자체가 하나의 그래픽 요소가 될 수 있다.
-
결론
브랜드들은 코로나 대유행을 겪으면서 온라인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들이 더 돋보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의 접근방법을 선보이게되었다.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온라인으로 소통하는 시간이 더 많아지면서 브랜드 짤들도 생겨나게되었다.
브램드짤의 경우 앞으로도 계속 유행 할 것 같다.
-
참고자료 :
- Venngage 8 Graphic Design Trends that Will Define 2022 [Infographic]
- 카카오 이모티콘 출시 10주년, 창작자와 동반 성장하며 상생 가치 실현
- 배달의 민족 에어드랍 짤
'트랜드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MZ트랜드] 서울시 MZ세대 첫 분석…시민 셋 중 한명, 서울에서 가장 큰 세대 집단 (0) | 2021.11.25 |
---|---|
[UX UI트랜드] UX UI 벤치마크 웹사이트 정리 (앱스크린샷모음, 반응형웹, 이메일 디자인 등) (0) | 2021.11.25 |
[컬러트랜드] 셔터스탁이 꼽은 2022년 트랜드 컬러 (0) | 2021.11.24 |
[MZ트랜드] MZ 세대 분석 마케팅 사이트 '캐릿 Careet' (0) | 2021.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