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X디자인
- UI
- UX
- UX스터디
- 디자인
- UX리서치
- 디자인원칙
- 디터람스10계명
- servicebluprint
- UXUI
- 앱디자인트랜드
- 트랜드분석
- 사용자
- 스낵바팝업
- 디자인검증
- UI팝업
- 토스트팝업
- 팝업가이드
- 트랜드
- SQL
- MZ세대
- 2022년트랜드
- 2022년디자인트렌트
- 그래픽디자인트랜드
- 디자인스터디
- UX공부
- 2022트랜드
- 휴리스틱
- MySQL
- 사용성
Product Designer 의 UX UI 스터디
[휴리스틱 10원칙] 6.직관성 본문
요약
사용자가 많은 정보를 기억해야지만 사용할 수 있으면 안된다.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
심리학자들은 두 가지, 기억해 내는 것과 즉시 인지하는 것의 정의를 가리고 싶어한다. 예를 들어 길에서 어떤 사람을 만났는데 전에 그 사람을 본적이 있다면 꽤 쉽게 알 수 있지만 그 사람의 이름을 기억해 낸다는 것은 훨씬 어렵다. 전자는 인지이고 후자는 기억해내기 이다. 인지는 사건이나 정보를 익숙한 것으로 '인지'하는 반면, 기억은 기억했던 정보들 중에서 정확한 정보를 찾아내는 것을 말한다.
인지와 기억해내기 의 차이에서 UI에서 인지가 직관성을 높이는 이유를 이해야하기 위해서는 사람의 기억력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잠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기억 소환하기
종종 심리학자들은 기억이 많은 어구들로 이루어져있다고 여긴다. 기억을 소환한다는 것은 수 많은 어구들 안에서 얼마나 쉽게 기억하려는 정보를 검색 할 수 있는지 측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 이름이 하나의 정보로 기억된다면 이것은 쉽게 활성화 되는 기억이여서 누군가 한밤중에라도 나를 개워서 이름이 무엇인지 물어본다면 빨리 말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우리가 초등학교 1학년 담임선생님의 이름을 기억해내야 한다면, 그 답을 생각해 내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것을 기억을 소환하는 것이 그만큼 잘 안되는 것이다.
기억을 소환하는 데에는 3가지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연습 : 이전에 정보가 사용된 횟수
최신성 : 최근에 얼마나 정보가 사용되었는 지
상황 : 얼마나 지금 그 정보에 관심이 있는지
보통 우리는 연습이 완벽을 만든다고 한다. 실제로 우리가 어떤 정보를 더 많이 연습 할 수록 그것을 기억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 정보를 더 연습 할 수록 그것을 기억할 가능성이 높어진다. 기억이 소환되는 것은 연습양에 따라 달라진다. 내 이름이 초등학교 1학년 담임 선생인 이름보다 더 친숙한 이유는 훨씬 더 많은 연습을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억이 활성화 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연습 뿐 아니라 최신성이다. 과거의 정보는 점점 희미해진다. 최근에 기억한 정보는 과거의 사건보다 더 잘 기억된다.
연습과 최신성 이외에 세번째 요인은 상황이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광성에 대해서 알아 볼 필요가 있다.
앞서 우리의 기억은 여러개의 연결된 어구들로 이루어져있다고 했다. 두개의 어구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해보겠다. 내가 만약 파리라는 프랑스의 도시를 말하고 당신이 떠오르는 것들이 무엇이 말해달라고 하면 당신은 음식, 에펠탑, 바게트빵, 나폴레옹 등을 떠올릴 수 있다. 이모든 단어들은 파리와 강하게 연관되어 잇고, 파리에 관심이 생기면서 다른 어구들이 기억속에서 활성화 되는 것이다. 가장 활동적인 기억이 첫번째 말하게 된 답변이고 그 다음 활동적인 기억은 그 다음 답변이 될 것이다.
연관성의 개념은 심리학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학습과 문제 해결의 기초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여러가지 상황속에서 기억을 소환해내는 방법으로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고 새로운 것을 발견하도록 도와준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기억소환하기
전형적인 기억한 정보를 입력해야하는 인터페이스는 로그인이다. 사이트에 로그인 할 때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모두 기억해야한다. 사용자가 기억을 해야지만 로그인을 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모든 사이트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기억하기 쉽도록하고 어떤 사람들은 사이트의 정보와 연관지어 비밀번호를 만들기도한다. 예를 들어 tistory비밀번호라면 tistorypassword라고 만드는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메모장이나 종이에 적어서 비밀번호를 보관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인지
메뉴 시스템은 인지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가장 일반적인 예이다.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기능들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인지하고 선택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로 작업하는데 텍스트에 언더라인을 긋고 싶다는 생각이 들면 메뉴안에 있는 인터페이스 중에서 글씨 밑에 언더라인을 그어주는 메뉴를 선택하면 됩니다. 언더라인을 그어주는 메뉴의 아이콘을 보고 쉽게 인지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직관성을 향상시키기
어떻게 직관성을 높일 수 있을까? 정보와 인터페이스의 기능들을 잘 보이고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만든다.
기록과 이전 방문했던 컨텐츠
최근에 방문한 페이지와 검색했던 것들을 제공하면 사용자들은 다시 남겨둔 작업을 시작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전에 방문하거나 검색했던 것들을 모두 기억하는 것은 어렵다. 구글 또는 이커머스 검색창에는 최근 검색 이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검색했던 것들을 다시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사용자들은 앱이나 웹사이트 (즐겨찾기, 위시리스트, 쇼핑리스트, 과거 주문내역 등)에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다. 이런 것들은 사용자들이 쉽게 컨텐츠에 접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가시적이고 직관적이기
터치 디바이스에서는 여러가지 제스처 인터페이스를 사용 할 수 있다. 좌우로 길어지는 리스트를 디자인할때 오른쪽화면 끝에 컨텐츠를 살짝 걸쳐둔다면 컨텐츠가 더 있다는 것을 어포던스로 보여줄 수 있다. 이는 터치 제스쳐로 드래그를 오른쪽으로 할 수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제스처를 쉽게 상기 할 수 있는 추가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기억해야하는 정보의 양을 덜어준다.
많은 모바일 앱들은 사용자들에게 앱을 어떻게 사용해야하는지 설명하는 튜토리얼을 보여준다. 사람들은 그 정보를 암기해두었다가 필요할때마다 기억해내서 앱을 사용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튜토리얼 정보와 실제 인터페이스간의 연관성을 떠올릴 시간이 거의 없다. 일반적인 튜토리얼을 표시하는대신 사용자가 방문중인 페이지에 맞는 툴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가 궁금해 하는 것과 하려는 작업을 자연스럽게 인지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현대카드 좌우로 길어지는 리스트 디자인의 추가 컨텐츠가 있다는 어포던스 ![]() |
네이버페이 이번에 놓친 포인트에 대한 용어 설명을 툴팁으로 확인 ![]() |
https://potatohands-design.tistory.com/8
[UX 리서치] 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원칙 User Interface 디자인
요약 : 10가지 일반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원칙으로 광범위한 적용내용이기에 "Heuristics 휴리스틱"이라고 불린다. - 1.시스템 상태 가시성 사용자에게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한
potatohands-design.tistory.com
-
참고자료 : nngroup - 10 Usability Heuristics for User Interface Design
'UX UI 스터디 > UX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리스틱 10원칙] 8.핵심 정보를 심미적이고 심플하게 보여주기 (0) | 2021.12.11 |
---|---|
[휴리스틱 10원칙]7.유연함과 효율성 (0) | 2021.12.10 |
[휴리스틱 10원칙] 5.에러예방 (0) | 2021.12.08 |
[휴리스틱 10원칙] 3.사용자의 선택권 및 자유도 (0) | 2021.12.06 |
[휴리스틱 10원칙] 2.시스템과 현실 세계의 매칭하기 (0) | 202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