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트랜드분석
- 디자인원칙
- servicebluprint
- UX스터디
- 휴리스틱
- 토스트팝업
- 디터람스10계명
- SQL
- 디자인검증
- 사용자
- 2022년트랜드
- 디자인스터디
- UI팝업
- UX공부
- 그래픽디자인트랜드
- 디자인
- 팝업가이드
- 트랜드
- UXUI
- 2022년디자인트렌트
- 2022트랜드
- UX리서치
- UI
- UX디자인
- MZ세대
- 사용성
- 스낵바팝업
- 앱디자인트랜드
- MySQL
- UX
Product Designer 의 UX UI 스터디
[휴리스틱 10원칙]7.유연함과 효율성 본문
요약
사용자 중에는 초보자와 전문가가 있을 수 있다. 전문들에게는 단축키 같은 것으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고 초보자는 단축키를 알지 못해도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
요리는 숙련도에 따라 작업시간과 과정이 천차만별이다. 양파를 얇게 저민다고 생각하면 숙련도가 높은 사람은 손이 베이지 않도록 주먹으로 양파를 짚고 척척 잘 잘라낼 것이다. 하지만 요리를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은 양파를 어떻게 잡는지도 얇게 저미기 위해 칼을 한번 도마에 내리기까지도 시간이 많이 걸린다.
요리를 하는 주방처럼 UX에서도 다양한 역량을 갖춘 사람들을 수용해야한다. 우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서 작업을 완료 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해야한다. 초보 사용자가 보지 못하는 단축키와 고급 기능을 전문 사용자들이 사용 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유연성과 사용효율을 제공한다. 이 접근법은 경험이 적고 많은 모든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게 한다.
-
초보 사용자와 전문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다르다
새로운 사용자는 시스템 사용 시 가이드가 필요하다. 아직 어떤 기능이 이 제품 또는 서비스에서 제공되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 명확하고 분명한 옵션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초보 사용자는 단계별 마법사 또는 명확하게 메뉴명이 텍스트로 보이는 것들을 크게 의존하지만 경험이 많은 사용자는 키보드 단축키 또는 터치스크린 제스처를 이용하여 동일한 작업 완료한다. 물론, 전문가 사용자도 단축키나 터치스크린의 제츠쳐를 사용하지 않고 초보자와 같이도 사용 할 수 있지만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럴 필요가 없다.
만약 시스템을 초보 사용자에게만 맞추어서 설계 및 디자인을 한다면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는 답답하게 느껴질 수 있다. 모든 단계를 다 거치거나 눌러야지만 작동하게 된다면 자주 사용해서 능숙해진 사용자들은 작업을 하는 속도가 느려질 것이다. 처음에는 단계별 안내를 거쳐 작업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될때는 필요가 없다.
반면에, 시스템이 전문 사용자들에게만 초점을 맞춘다면, 아마 어려운앱이 될 것이다. 키보드 단축키나 터치 제스쳐를 사용하면 실행하는 것이 빠르지만 사용자가 기억하고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이것에만 의존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것 같다.
따라서 유연하고 효율적인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 기호에 따라 동일한 작업과 기능을 사용하더라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는 미숙한 사용자와 고급 사용자 모두 원하는 속도로 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동일한 기능을 사용 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
유연하고 효율적인 시스템은 사용자가 초보자에서 전문가로 전환되도록 도울 뿐 아니라 사용자가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기능을 사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량 이메일을 작성하는데 약간의 내용만 변경해서 전달한다고 하면 다음과 같이 발송 할 수 있다.
- 동일한 기본 메일을 반복해서 입력하기
- 텍스트를 복사하여 붙여넣고 수신자의 이메일과 수신인의 이름을 편집하여 보내기
- 그룹에 개별 전자 메일로 발송하기 (BCC 비밀 참고 기능 사용하기)
- 메일 병합 기능을 사용해서 각 수신자 메일로 개별 지정하고 보내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전자 메일 본문으로 정보를 가져오는 프로그래밍 변수를 짜고 고급 도구와 전자 메일 보내기
위의 방법은 대량 이메일을 보내는 비슷한 결과를 낳지만 보내는 방법은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전혀 다르다.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같은 기능을 여러곳에 배치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같은 기능이 여러 곳에 복제되어있으면 더 사용하기 어려워질 것이다.
도움이 되는 유연성과 무작성 기능을 복제하여 여러곳에 두는 것엔 미묘한 차이가 있다. 어디까지 중복된 기능 또는 UI를 배치하도록 할지는 다양한 사용성 테스트 등을 통하여서 결정해야한다.
사용자가 기능을 유연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커스터마이즈 할 수 있도록 제공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포토샵의 경우 사용자가 작업하고자 하는 방식대로 툴 레이아웃 스타일을 선택 할 수 있고 추가 할 수 있다.
![]() |
![]() |
사용자가 직접 커스터마이즈를 해서 작업을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사용자는 이 기능에 대해서 관심이 없을 수 있기 때문에 이것에만 너무 의존하면 안된다.
일부 시스템들은 사용자가 직접 커스터마이즈를 하여 UI를 설정하는 것이 아닌 자동으로 개인맞춤형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개인화는 제대로 만드는데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들수 있다. 예를 들어, 엑셀에서 열을 정렬할때 오름차순으로 작업을 마지막에 세팅한대로 저장했다면 다음에 재정렬을 할때 오름차순을 지정 할 수 있도록 저장해둘 수 있게 제공하는 정도는 고려해볼 수 있다.
빠른 실행(단축키와 제스쳐, 매크로 등)으로 반복 사용을 개선
빠른 실행은 동일한 작업을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이차적인 방법이다. 예를 들어 프로크리에이터에서는 undo와 redo를 터치스크린 제스쳐로 동작하게 만들었다. 사용하고 싶은 제스쳐만 키고 끌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 제스쳐는 향상된 기능으로 새로운 사용자는 잘 모르고 지나칠 수 있지만 숙련된 사용자라면 많은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
사용할만한 단축키 또는 제스쳐를 디자인 하는 방법은 자연스럽게 발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단축키 발견 방법은 메뉴 옆에 보이도록 위치시키는 것이다. 어도비 엑스디의 경우도 보면 메뉴 오른쪽에 단축키에 대한 약어들이 쓰여있다. 초보 사용자들은 단축키에 대해서 전혀 신경쓰지 않아도 되지만, 숙련된 사용자는 반복사용되는 기능의 단축키가 궁금할때 언제든 알 수 있다.
매크로는 유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또 다른 방법이다. 매크로는 사용자가 커스터마이즈한 것과 시스템이 제공하는 빠른실행 그 중간쯤이다. 매크로를 사용하면 한개의 트리거로 반복되는 작업이나 기능 사용에 대해서 예측 할 수 있는 과정을 자동으로 실행 할 수 있다. 전문가 사용자는 마우스 클릭과 키 입력을 일련의 매크로로 설정하고 실행 할 수 있다. 그러나 매크로를 꼭 돌리는 것만이 효율을 높이는 것은 아니다. 다중 선택 한것을 일괄 변경 또는 삭제등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도 간단한 빠른 실행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
7번째 사용적합성 휴리스틱은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기능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새로운 사용자는 작업 수행에 가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지만 숙련된 사용자는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빠른 실행 및 기타 보조 기능들을 이용 할 수 있다.
https://potatohands-design.tistory.com/8
[UX 리서치] 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원칙 User Interface 디자인
요약 : 10가지 일반적인 유저 인터페이스 디자인 원칙으로 광범위한 적용내용이기에 "Heuristics 휴리스틱"이라고 불린다. - 1.시스템 상태 가시성 사용자에게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한
potatohands-design.tistory.com
-
참고자료 : nngroup - 10 Usability Heuristics for User Interface Design
'UX UI 스터디 > UX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리스틱 10원칙] 9. 명확한 에러문구로 오류를 인식하고 복구하도록 지원 (0) | 2021.12.12 |
---|---|
[휴리스틱 10원칙] 8.핵심 정보를 심미적이고 심플하게 보여주기 (0) | 2021.12.11 |
[휴리스틱 10원칙] 6.직관성 (0) | 2021.12.09 |
[휴리스틱 10원칙] 5.에러예방 (0) | 2021.12.08 |
[휴리스틱 10원칙] 3.사용자의 선택권 및 자유도 (0) | 2021.12.06 |